반응형 당근5 발헤임 자원 당근 얻는법 사용법 정리 정리 발헤임 자원 당근 얻는법 사용법 정리 정리 발헤임 당근 소개 및 서식지 검은 숲 서식 하얀 꽃의 식물 경작을 통한 당근 재배 가능 당근 재배 시 바로 섭취 가능 발헤임 당근 농사 방법 검은 숲에서 당근 씨앗 확보 쇠스랑을 이용한 경작 쇠스랑으로 당근 심기 자동 성장 후 수동 재배 발헤임 당근 정보 무게 4.2 체력 10 스태미나 32 지속 시간 15 치유 1hp 발헤임 당근 요리 당근 수프 사슴 스튜 다진 고기 소스 2024. 1. 3. 당근의 효능 영양소 부작용 대해 알아보기 혹시 여러분들은 당근 좋아하시나요? 저는 개인적으로 좋아하지 않습니다. 맛도 별로고 향도 싫어하거든요. 하지만 건강을 위해서 억지로라도 먹어야 하는 채소인데요. 그럼 왜 우리는 몸에 좋지 않은 당근을 꾸준히 섭취해야 할까요? 바로 당근 속에 들어있는 영양소 덕분입니다. 그렇다면 당근 안에는 어떤 영양소들이 들어있는지 또 어떻게 하면 더 맛있게 먹을 수 있는지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당근은 눈 건강에 좋다고 많이 알려져있죠? 저도 어릴때 엄마가 당근주스를 자주 해주셨는데 그때마다 먹기 싫어서 도망다녔던 기억이 나요. 하지만 이제는 제가 직접 챙겨먹고 있답니다. 왜냐구요? 우리 몸에 너무너무 좋기 때문이죠! 그래서 오늘은 당근의 효능에 대해 알려드릴게요. 당근은 어떤 채소인가요? 당근은 녹황색 채소 .. 2023. 3. 10. 발헤임 공략 당근 버섯 요리, 당근 수프 만드는 방법 발헤임 공략 당근 버섯 요리, 당근 수프 만드는 방법 북유럽 생존게임 검은숲을 진입 부터는 당근 농사를 시작할 수 있습니다. 초반에는 당근을 대량으로 확보하기 어렵지만, 대량으로 확보가 가능해진 시점부터는 당근을 이용한 요리를 하게 되는데, 그 요리가 바로 당근 수프입니다 [발헤임 공략 당근 버섯 요리, 당근 수프 만드는 방법] 1. 당근 수프 만들기 - 당근 농사를 한다, 당근 씨앗 검은숲 획득 가능 - 당근, 농사를 통해 얻을 수 있다. - 버섯, 목초지에서 획득 가능 - 가마솥을 이용해 만든다. 비율 버섯1, 당근 3 - 1번 제작으로 당근 수프 1개를 얻을 수 있다 2. 당근 수프 능력 - 체력 20 - 스태미나 60 - 지속 시간 1500s - 치유 2 hp/tick ▼ 발헤임 공략 당근 버섯 .. 2021. 8. 27. 발헤임 공략 당근 농사 하는 방법, 쇠스랑 이용하기 발헤임 공략 당근 농사 하는 방법, 쇠스랑 이용하기 북유럽 생존게임 농사를 하기 위해서는 쇠스랑이라는 도구가 필요합니다. 쇠스랑을 만들었다면 농사를 위한 땅을 경작하고, 심을 수 있는 씨앗을 구하시면 됩니다. 발헤임을 하면서 처음 얻을 수 있는 씨앗은 당근 씨앗입니다 [발헤임 공략 당근 농사 하는 방법, 쇠고랑 이용하기] 1. 농사하는 방법 - 쇠스랑 도구를 만든다 - 쇠스랑을 이용해 밭을 경작한다 - 당근 씨앗을 심는다, 당근 씨앗은 검은숲에서 얻을 수 있다 (심기만 하면 알아서 성장합니다) 2. 여담으로 - 당근 씨앗으로 당근을 키울 수 있다 - 당근으로 당근 꽃을 키울 수 있다 (당근을 많이 얻고 싶다면 초반은 꽃으로 심어 더 많은 씨앗 얻는 작업을 반복하는 게 좋다) ▼ 발헤임 공략 당근 농사 하.. 2021. 8. 27. 제사하고 남은 음식으로 돌솥비빔밥 만들어 먹기 제사하고 남은 음식으로 돌솥비빔밥 만들어 먹기 일상다반사 최근 제사를 지냈다. 제사를 지낸 뒤에는 당연 한 듯 냉장고에 다양한 음식이 쌓인다. 이 음식들을 어떻게 처리해야할까 고민을 했는데, 결혼 후에 많이 바뀐 듯 하다 집 사람이 좋아하는 비빔밥. 그래서일까 나도 자연스럽게 비빔밥이라는 단어가 입에 붙고, 손이 간다 자주 해먹으려고 하더라도 재료 준비와 손질이 요리 초보에게는 쉽지 않다. 그렇다보니 이렇게 제사 이후에 나물을 챙겨뒀다가 다음날 비빔밥으로 먹는다. 밥을 넣고, 나물을 넣고, 반숙 계란까지 그리고 참기름과 고추장으로... 여기에 시원한 콩나물 국까지 제사에는 간을 많이 안 하다보니 조금 싱겁긴 하지만, 제사가 끝났으니 소금으로 간을 맞춘 뒤 먹었다 뜨거운 비빔밥과 시원한 콩나물 국의 조합은.. 2021. 8. 23. 이전 1 다음 반응형